우리가
향하고 있는
예정된 미래
거대한 시장
누적되는 고객들
→한국만 해도 1,700만명이 넘는 25-49세 고객들이, 수능 만점 등 목표 달성하면 이탈하는 전통적인 입시 사교육 시장과는 다르게, 신입사원에서 은퇴할 때까지 생애 주기별 학습 니즈가 연속적으로 누적되는 거대한 시장이 열리고 있습니다.
대학과 기업 사이의
미스매치
→채용공고의 대다수가 전공 무관으로 기재되는 현상이 상징하듯, 대학에서 배운 것을 기업에서 쓰지 못하고 있습니다. 대학, 대학원과 같은 기성 교육체계가 메꾸지 못하는 이 틈은 앞으로도 계속 벌어질 것이고, 누군가는 이 틈을 메꿔 거대한 사업으로 바꿔낼 것입니다.
사라진 평생직장
중요해진 AI & Digital 기술
→AI & Digital is eating the world. 우리가 아는 모든 직업에 AI와 Digital 기술이 파고드는 중입니다. 기술이라는건 태생적으로 변화하는 속성이 있기에, 우린 끊임없이 이 변화를 학습해나가야 합니다. 자격증 하나 따서, 시험 한번 잘봐서 평생 먹고살 수 있는 시대는 이제 끝났습니다.
데이원컴퍼니가
존재하는 이유
•
데이원 구성원들 관점에서
교육 분야에서
한국 최대 회사를
만들어볼 수 있는 기회
영어 한 과목, 또는 좁은 초등시장 타겟이 아닌, 가장 광범위한 주제들과 가장 많은 인구수를 타겟하는 회사가 자연스럽게 이 시장에서 가장 큰 회사가 될 수 있다고 믿으며, 그 여정은 인생을 투자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.
• •
주주와 투자자 관점에서
교육 분야에서 처음으로
제대로 된 글로벌 회사가
태어날 수 있는 기회
한국과 미국 개발자들이 똑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씁니다. 한국 유투버와 일본 유투버가 똑같은 영상편집 툴을 사용합니다. 교육 시장 역사상 처음으로 AI & Digital 스킬 시장은 글로벌 동기화가 일어나고 있고, 인강 종주국에서 태어난 (데이원을 포함한) 한국 회사들이 이 시장의 주인공이 될 역량과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.
• • •
사회적 관점에서
민간에서 출발해 충분한
권위를 확보하여 대학/대학원을 대체할 수 있는 기회
데이원을 통해 문과생이 개발자로 취업하고, 간호사가 데이터사이언티스트로 진로를 변경하는 등 인생이 바뀐 이들이 많습니다. 기성 교육체계가 하기 힘든 일을 민간기업이 해결하여 산적한 사회적 과제들을 훌륭히 해결해낼 수 있습니다.